현재 국내 SW 수요기업들이 평균 8~10%대의 낮은 유지보수 요율을 지급하던 정책과는 비교된다.
그동안 국내SW 경쟁력 저하의 원인으로 지목돼온 지나치게 낮은 유지보수요율을 현실화시킴과 동시에 고객에게는 유지보수 계약만으로도 지속적인 SW 업그레이드로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와이즈원이 유지보수요율을 현실화하면서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정책을 수립한 것은 ‘고객상생’의 유지보수전략을 표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상적으로 기존의 국산SW업체들은 유지보수 서비스로 패치 업그레이드나 하자보수 서비스만을 포함시키지만 유와이즈원은 라이선스 구매와 유지보수 계약이 유지되면 지속적으로 신버전 SW를 제공해준다.
유지보수비용으로 생긴 수익을 R&D에 재투자해 지속적으로 제품을 업그레이드함으로써 고객과의 지속 상생을 이루겠다는 전략이다.
그 결과 고객들은 운영 및 기능개선 비용, 기술지원 비용 등 소프트웨어 구매시 소요되는 TCO(총 소유비용)를 절감할 수 있다.
현재환 유와이즈원 대표는 “고객상생 유지보수정책 계약엔 정비 및 업데이트, 장애복구뿐 아니라 지속적 버전(기능) 업그레이드가 포함된다” 며 “신규고객사를 확보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기존 고객사를 만족시키는 ‘살아있는 SW’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사의 발전에 진정으로 기여하는 기업이 되겠다” 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