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한국 내 원ㆍ위안화 직접거래시장 개설하는 방안이 논의돼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對) 중국 무역에서 결제수단의 대부분을 달러화가 점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환전 수수료가 더 들고 달러화 등락에 따라 결제 대금이 크게 변하는 상황이다.
서 위원은 "양국 간 교역에서 자국통화 결제 비중을 높이도록 정책당국이 상호 협조할 필요가 있다"며 "은행간 직접거래시장이 만들어지면 국내은행들의 위안화 조달비용이 낮아지고 운용처도 확대된다"고 설명했다. 또 수수료 등 결제비용 인하 효과도 있다.
일본은 지난 12월 중ㆍ일 정상회담 이후 위안화 직접거래시장 개설을 추진하고 있다. 영국과 싱가포르도 준비중이다. 서 위원은 "상대국 통화를 수출대금으로 받는 자국 기업에 금융거래상 불이익을 줄이는 한편 양국 금융회사의 상호 진출을 확대하도록 인허가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과 중국의 경제교류가 증진될수록 양국 경제의 움직임이 비슷해진다"며 "이에 따른 부작용을 막을 수 있도록 통화스와프 등 방어기제를 충분히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