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일본상공회의소와 함께 7일 오전 부산 누리마루 APEC 하우스에서 양국상의 회장단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6회 한일상공회의소 회장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손경식 대한상의 회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세계경기 침체 속에서도 한·일 양국간 교역액은 지난해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돌파했고 일본의 한국에 대한 직접 투자금액 역시 금년 1사분기에 9억 2000만 달러로 분기별 최대실적을 기록했다”며 “이런 결과는 양국 협력관계 진전을 위해 노력한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서로를 유익한 협력파트너로 인식하고 교역과 투자확대에 힘써온 기업인들의 노력에 힘입은 것“이라고 말했다.
오카무라 다다시(岡村正) 일본상의 회장(도시바 상담역)은 “최근 일본기업의 한국 투자가 증가추세에 있고 자원개발, 인프라산업 등의 분야에서 양국기업이 제휴해 제3국에 공동 진출하는 경우도 늘었다”며 “양국기업 간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심화시키기 위해 한일 FTA 협상이 조속히 재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카무라 회장은 또 “최근 들어 일본 중소기업들의 해외진출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며 “일본상의는 중소기업의 국제화 지원을 중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양국간 보다 많은 중소기업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일본기업에 대한 한국의 투자유치 노력도 활발히 전개됐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한국경제의 현황과 전망’ 발표를 통해 “일본대지진 이후 일본의 한국 투자, 특히 부품소재분야의 투자가 늘고 있다”며 “한-미·한-EU FTA 발효와 더불어 국내에서 생산해 미국·유럽으로 수출될 경우 관세혜택도 볼 수 있는 만큼 일본기업 유치에 일본상의가 더욱 노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사사키 미키오 일본상의 특별고문(미쓰비시상사 상담역)은 자원·에너지 확보를 위한 제3국 공동진출에 동감하며 “양국이 아시아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 한·일 FTA를 체결해 하나의 경제권을 형성한 후 동아시아 경제 일체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