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류인균 서울대 의대 교수 |
교육과학기술부는 류인균 서울대 의대 교수(사진) 연구팀이 우울증상을 보이는 19∼65세 여성 52명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 SSRI(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 계열 항우울제를 크레아틴과 함께 먹었을 경우가 항우울제만 복약했을 때보다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임상시험 대상 중 한 그룹에는 SSRI계열 항우울제인 에스시탈로프람과 크레아틴 5g을 투약하고, 대조군에는 에스시탈로프람에 약리학적 효과가 없는 위약을 추가했다.
그 결과 우울증 치료제에 크레아틴을 추가한 그룹은 항우울제만 복용한 대조군보다 치료기간이 2주 이상 단축됐다.
최종평가 시점인 복용 8주 후에는 크레아틴 추가그룹의 52%에서 우울증이 치료된 데 반해 대조군은 26%에서만 치료효과를 보였다.
크레아틴 사용에 따른 부작용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크레아틴은 간이나 신장에서 합성되는 질소 유기산으로 근육세포와 뇌세포에서 에너지 대사를 촉진한다.
류 교수는 “천연물인 크레아틴으로 우울증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점에서 의료·경제학적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