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비박(비박근혜) 대선 주자들이 공천헌금 파문이 일부라도 사실로 확인될 경우 황 대표에게 책임을 묻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지난 5·15 전당대회에서 당초 ‘관리형 대표’를 원했던 친박계의 지원 속에 압도적인 표차로 대표직에 올랐지만, 대선 경선 관리조차 난항을 겪으면서 이미 리더십을 잃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황 대표는 지난해 원내대표 재임 당시만 하더라도 중립 성향으로 분류됐던 인사였다.
특히 적을 두지 않으면서 내실을 챙기는 편이고, 그래서 ‘어당팔’(어수룩해 보여도 당수가 팔단)이란 별칭이 붙기도 했다.
취임 초반, 한미 FTA 비준안의 ‘기습처리’와 국회선진화법 통과 등으로 잠시 호평을 받기도 했으나, 정작 당내 문제에서는 ‘우유부단’한 모습으로 당 안팎의 비난을 받아왔다.
이후 정두언 체포동의안 부결사태와 수습과정에서 지도부의 안이한 상황 판단과 사후 대응으로 ‘박근혜 사당화’ 논란까지 불거지는 등 당과 유력 대선후보가 적잖은 타격을 입는 바람에 친박계 내부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비박 주자들에게는 박 전 위원장의 ‘눈치’만 보며 경선을 편파적으로 관리한다고 비판을 받는 등 양측에서 모두 ‘공공의 적’이 돼 버린 상태다.
이들이 공천헌금 파문이 터지자마자 ‘황우여 사퇴’ 카드를 꺼낸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것이다.
또 황 대표가 친박계로 분류되는 현영희 의원과 현기환 전 의원에 대한 단호한 조치를 내리지 못하다가, 비판 여론이 일자 뒤늦게 탈당 권고에 이어 제명 결정을 내리는 등 신속하지 못한 대응으로 불신을 야기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황 대표는 7일 이번 사태와 관련해 “(금품수수) 사실이 확인돼야 하고, 그것이 당이 책임져야 할 일인지 확인한 뒤 책임의 정도에 따라서 대표가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다.
개인 문제가 아닌 당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만 사퇴를 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개인이 범죄를 한 경우도 있으니 상황을 판단해야 한다”라며 “저는 항상 마음을 비우고 가지만 당에 누를 끼치기 때문에 신중히 해야 한다. 홀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박근혜 책임론’에 대해서도 “관리 책임은 현역이 지는 것이고, 원래 자리를 떠나면 그건 물을 수가 없다”면서 “정치적인 책임이야 모든 정치인이 항상 자기의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을 지겠지만 당이 책임져야 할 때는 현 당 대표가 그 책임을 받아야 된다”고 박 전 위원장을 옹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