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니 설립 사모펀드社, 탈세의혹 검찰조사

아주경제 유지승 인턴기자=미국 뉴욕 검찰이 미트 롬니 공화당 대통령 후보가 설립한 베인캐피털 등 사모펀드 회사 10여 곳에 탈세 혐의로 소환장을 보냈다고 뉴욕 타임스가 1일 보도했다.

검찰은 이들이 자산운용 수수료 수입을 성공보수로 전환해 세금 수천억원을 덜 낸 혐의를 수사하고 있다.

운용 수수료 수입은 투자자가 사모펀드에 맡긴 자산 규모의 2%씩을 매년 받는 것으로 일반적인 소득세율 35%가 적용된다.

그러나 펀드운용 수익의 20%를 나눠 받는 성공보수는 투자 수익으로 간주돼 세율이 15% 밖에 되지 않는다.

베인캐피털 등은 절세 전략으로 운용 수수료를 받지 않는 대신, 그만큼의 자산을 계속 운용해 성공보수를 더 많이 받는 방식을 택했다. 물론 운용 수익이 나지 않으면 성공보수도 받을 수 없으므로 약간의 위험이 따르는 전략이다.

사모펀드 회사들의 절세 전략은 지난달 베인캐피털의 2009년 재무자료가 공개되면서 세간에 알려졌다. 베인캐피털은 운용 수수료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 수익으로 전환해 연방소득세 2억달러와 의료보험료 2000만달러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합법적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너무 과감해서 불법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일각에서는 민주당 출신인 에릭 슈나이더만 검찰총장이 미트 롬니의 기반인 사모펀드 업계를 뒤흔들려는 의도로도 보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베인캐피털 재무자료가 공개되기 전에 이미 소환장이 발부된 점, 이번 수사를 뉴욕 검찰 납세자보호부서에서 주도하는 점을 감안하면 주 세수 확충 차원이라는 해석도 있다.

롬니는 베인캐피털에서 퇴사했지만 여전히 수익을 나눠 받고 있으며 문제가 된 절세전략을 사용하는 펀드에도 투자하고 있다.

한편 롬니 후보 진영에서는 롬니가 그런 절세방식으로 혜택을 본 적이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