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억제 뇌 단백질 첫 발견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비만 억제 기능을 하는 뇌(腦) 단백질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6일 김영범 가천대 석좌교수(미국 하버드의대 교수 겸임)는 이길여암당뇨연구원과 식욕 억제 호르몬으로 잘 알려진 렙틴(leptin)의 작용을 촉진하는 뇌 단백질 ‘로키나제(Rho-kinase)’의 기능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렙틴 저항성이 발생하는 원인을 찾기 위해 렙틴의 식욕억제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세포(POMC, AgRP)에서 단백질 로키나제를 제거한 유전자변형 생쥐를 만들었다.

로키나제가 제거된 생쥐는 정상 생쥐와 달리 식욕 조절 능력을 상실해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했고, 결국 체중이 평균 30% 증가했다.

이 같은 실험 결과를 토대로 단백질 로키나제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렙틴이 식욕 억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김 교수는 “로키나제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약물이 개발된다면 비만을 예방하거나 억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과학자들은 그동안 뇌의 시상하부에서 비만 억제 기능을 하는 렙틴을 집중적으로 연구해왔다.

그 결과 비만환자의 경우 렙틴의 양이 늘어나도 식욕을 억제하지 못하는 이른바 ‘렙틴 저항성(leptin resistance)’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나 렙틴 저항성의 발생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