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8월 CPI가 2.0% 오른 것은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며 중국 정부가 물가를 적절히 조절하고 있는 범위에 들어갔다는 것을 뜻한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의 올해 물가상승률 통제 범위는 4% 이내다.
구체적으로 8월엔 식품가격 상승률이 3.4%로 비식품가격 상승률(1.4%)을 웃돌며 전체 물가 상승률을 견인했다. 국제곡물가격 상승과 함께 7월 중순부터 내린 폭우로 농작물 피해가 이어져 식품가격이 오른 것. 중국 정부가 지난달 석유제품 가격을 올린 것도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전문가들은 8월 중국 물가가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연말 3%대로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는 6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고 그 하락폭도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물가가 다소 반등하더라도 그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8월 소비자 물가 반등세가 중국 정부의 향후 거시경제 조절 정책 방향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안정적 범위 내로 통제되고 있는 만큼 중국 인민은행이 9월 지준율이나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지난 1일 중국 물류구매연합회가 발표한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2를 기록해 50을 하회하는 등 중국 경제 경착륙 우려가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당국의 경기부양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외무역대학 공공관리학원 리창안(李長安) 부교수는 “CPI가 다소 상승했지만 PPI는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여 이는 경제 상황이 여전히 좋지 않음을 보여준다. 실물경제가 나아지기는커녕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면서 “현재 물가 수준으로 볼 때, 정부가 통화정책을 더 완화해 경제 성장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판젠핑(范劍平) 국가정보센터 경제예측부 주임도 웨이보(微博)를 통해 “CPI가 상승세를 탄다면 정책 당국은 어려움에 빠지게 된다”며 “그러나 안정적인 성장이 중요한 과제라는 점에서 적당히 완화된 화폐 정책을 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소비자 물가가 다시 오름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커지면서 중국 당국의 통화정책 운신의 폭이 좁아질 것이라는 신중론도 있다.
중국 팡정(方正)증권은 물가가 바닥을 치고 다시 반등하는 것은 곧 금리 인하 가능성이 제한적임을 의미한다며 중앙은행이 하반기 최대 많아야 한 차례 금리 인하를 실시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중국 경기경착륙 중국은 올해 6월과 7월에 연이어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으며, 지급준비율은 지난해 11월 이래 3차례 단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