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일정을 마치고 9일(현지시간) 덴마크령 그린란드에 도착한 이 대통령은 곧바로 쿠피크 클라이스트 자치정부 총리와 면담했다.
특히 양국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자원협력 확대를 위한 4건의 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 그린란드와 노르웨이로 이어지는 북극지역 순방에서 첫 번째 성과물인 셈이다.
한반도 10배 크기의 그린란드는 막대한 석유·가스가 묻혀 있을 뿐만 아니라 희토류, 리튬 등 전략 광물도 풍부해 미국, 캐나다, 덴마크, 노르웨이, 일본 등이 주도권을 쥐기 위해 개발협력에 각축전을 벌이는 곳이다.
미국 지질조사국은 그린란드를 포함한 북극 지역에 미발견 석유 매장량의 13%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수치로 따지면 최소 400억∼1600억 배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연간 전세계 석유 소비량 300억 배럴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희토류도 세계 수요량의 25%를 차지하며, 그린란드 남부 2곳은 세계 10위권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린란드는 현재 외교·국방을 제외한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지만 오는 2020년에는 완전 독립을 본격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가 경제발전 경험과 산업화 기술을 공유하고 있는 데다 개발과 환경보전을 동시에 추진하는 녹색성장 전략을 택하고 있어 그린란드와 협력에 최적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는 게 우리 정부의 설명이다.
실제 이날 한-그린란드 양국 간 자원협력 양해각서(MOU), 광물자원협력 MOU, 지질연구협력 MOU, 극지과학기술협력 MOU 등 4개의 자원협력에 관한 MOU 를 체결했다.
우선 지식경제부와 그린란드 자치정부 산업자원부 간에 체결한 자원협력 MOUsms 그린란드 공동 자원지질 조사, 자원탐사 기술개발, 투자 촉진 등의 내용이 담겼다.
또 한국광물자원공사와 국영 광물기업 누나 미네랄스(NUNA Minerals), 지질연구원과 덴마크·그린란드 지질조사소(GES)가 각각 광물자원협력 MOU, 지질연구협력 MOU를 맺었다. 양국간 희토류와 리튬 등 희귀 광물자원 탐사와 개발 등을 위해서다.
이와 함께 한국 극지과학기술연구소가 덴마크 오후스 대학교와 극지과학기술 협력 MOU를 체결함으로써 북극의 기후, 지질, 생물, 해양, 빙하 등에 대한 공동연구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김상협 청와대 녹색성장기획관은 “이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미래 기회의 땅으로 부상한 그린란드와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자원개발을 위한 장기적인 협력의 기초를 다지게 됐다”며 “앞으로 新북방시대를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