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수사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가장 많아”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이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사칭 기관으로 가장 많은 이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110 정부민원안내 콜센터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상담을 분석한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상담 내역을 보면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을 사칭한 경우가 전체의 25.5%로 가장 많았고, 은행 사칭 16.1%, 공공기관 6.7%, 우태국ㆍ택배 5.2%, 자녀 납치 5.0% 순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상담 건수와 비교해보면 수사기관 사칭은 19.7%에서 25.5%로, 공공기관 사칭은 1.7%에서 6.7%로 각각 증가했다.

그러나 은행 사칭은 16.1%에서 9.2%로, 우체국ㆍ택배는 8.8%에서 5.2%로, 자녀납치는 9.9%에서 5.0%로 각각 줄었다.

최근 3개월 동안 보이스피싱에 가장 자주 사용된 발신번호는 서울지방검찰청(02-6953-6844), 경찰청 금융범죄과(050-7788-5003),대검찰청(02-3484-9688), 법무부(02-6304-0058) 등이었다.

수사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의 경우 개인의 주민등록번호와 연락처 등 개인 정보를 파악하고 전화를 걸어오는 경우가 많았다.

보이스피싱 상담전화는 총 1만227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 감소했고, 피해액은 24억5000만원에서 13억원으로 약 47%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