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1위 지역은 경기 군포시, 봉급쟁이가 가장 많은 곳은 정부종합청사가 있는 경기 과천시로 파악됐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지역별 고용조사 잠정결과’를 보면 올해 2분기 시지역 취업자수는 1106만1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0만9000명(1.9%) 증가했다. 군지역은 214만2000명으로 10만4000명(-4.6%) 감소했다.
시지역의 고용률은 57.8%로 0.3%포인트 하락했다. 군지역 고용률은 65.2%로 1.6%포인트 하락해 고용률 감소폭은 군 지역이 컸다.
고용률은 시지역에서는 제주 서귀포시(71.2%), 전남 나주시(67.2%), 충남 당진시(66.7%) 등이 높았고, 경기도 동두천시(49.7%), 과천시(52.7%), 전라북도 익산시(52.9%) 등은 낮았다.
군지역에서는 전남 신안군(75.9%), 충남 태안군(75.0%), 경북 의성군(74.3%) 등에서 고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충남 연기군(56.0%), 경기도 연천군(58.1%), 양평군(58.7%) 등은 고용률이 절반 수준을 기록했다.
시지역 실업자수는 28만8000명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만3000명(-4.3%) 감소했고, 군지역은 2만3000명으로 3000명(-11.5%) 줄었다.
시지역 실업률은 2.5%로 0.2%포인트 하락했고, 군지역 실업률은 1.0%로 0.1%포인트 낮아졌다.
156개 시군 가운데 실업률 상위지역은 군포시(4.6%), 과천시(4.1%), 시흥시(3.9%), 안양시93.8%) 등 경기권에 집중됐다.
취업자 가운데 임금근로자 비중은 경기도 과천시(83.4%), 오산시(82.1%), 수원시(80.5%) 등 경기도 시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농림어업 근로자 비중이 큰 전남 신안군(16.8%), 경북 군위군(24.5%), 전남 고흥군(25.2%)은 임금근로자가 가장 적었다.
비경제활동인구의 활동상태 중에서 ‘육아·가사’의 비중은 여성의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높은 전남 진도군(63.2%), 충북 보은군(60.4%)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재학·진학준비’의 비중은 청년층(15~29세)이 많은 경북 경산시(34.2%), 충남 천안시(33.2%) 등에서 컸다.
55세 이상 비경제활동 고령층은 전북 임실군(44.4%), 진안군(37.1%), 전남 구례군(34.9%) 등이 높은 지역이었다.
근무지기준 고용률과 거주지 기준 고용률 차이가 큰 곳은 통근 인구가 많은 전남 영암군(43.3%포인트)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베드타운 성격이 강한 경기 광명시(24.9%포인트)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