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정성호 의원(양주·동두천)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 4년 동안 가계가 국민총소득(GNI)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64.6%에서 2011년 3.0%포인트 감소한 61.6%다.
최근 5년간 가계소득의 증가율이 기업소득 증가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2007년~2011년 5년 동안 기업소득이 51.4% 증가할 때, 가계소득은 21.2% 증가에 그쳤다. 가계소득 증가율은 국민총소득 증가율(27.0%)보다도 5.8%포인트 낮았다.
또 노동소득분배율도 같은 기간 61.1%에서 59.0%로 2.1%포인트 감소했다.
가계소득 대비 국민총소득 비중과 노동소득 분배율이 감소할 때, 기업소득의 비중은 ‘07년 20.2%였던 것이 ‘11년 24.1%로 3.9%포인트 증가했다.
가계소득 비중이 감소할 때 가계부채는 급증했다. 국민총소득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계소득이 늘지 않을 때 가계는 부채만 키워왔다는 것이다.
가계부채는 2007년 665조4000억원에서 올해 6월 현재 922조원으로 무려 256조6000억원 급증했다.
가계부채를 처분가능소득과 경제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보면,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같은 기간 122%에서 135%로 증가했고, 명목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68.2%에서 73.7%로 늘었다. 그만큼 경제규모에 비해 가계부채가 과도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정성호 의원은 “이명박 정부 4년 동안 가계소득은 찬밥신세였다”며 “이명박 정부의 대기업 프렌들리 정책이 가계를 발육부진 상태로 만들고 국민경제를 기형화시킨 주범”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특히“가계소득은 민생경제의 알파요 오메가다. 민생경제를 살찌우는 길은 가계소득을 늘리는 일이고, 가계소득을 늘리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질 좋은 일자리가 많아져야 한다”며 “정부는 일자리가 최상의 복지라는 것을 명심하고, 민생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재정정책 기조를 근본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