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민주통합당 안민석 의원은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주요 14개 부처 미수납 사유별 현황(2011년 세입순계기준)’ 자료를 보면, 이명박 정부 들어 미수납액은 2007년 9조8000억원에서 2008년 14조원, 2009년 12조원, 2010년 13조원, 2011년 16조563억원으로 전 정부에 비해 작년에는 69% 급증했다”고 밝혔다.
납기도래 미수납액의 경우, 2007년 1조7800억원에서 2008년 9조5400억원, 2009년 6조5000억원, 2010년 7조6000억원, 2011년 8조4000억원으로 5년간 372% 급증했다.
특히 납기도래 징수액이 미수납되는 규모가 커짐에 따라 연도별 미수납액도 급격히 늘어났다.
부처별로는 기획재정부가 미수납액이 12조9000억원으로 가장 크며, 경찰청 1조6000억원, 국토해양부 1조400억 원 순이었다.
전체 미수납액 중 납기일이 도래했음에도 미수납된 금액을 비율로 보면, 국세청이 99.9%로 가장 높으며, 그 뒤로 행정안전부가 99.5%, 관세청 94.0% 순으로 나타났다.
납기도래 미수납액은 향후 사실상 수납이 어려운 금액으로 세입의 결손난 것이다.
안 의원은 “재정건전성을 위해서라도 징수에 철저해야한다”며 “그럼에도 이렇게 MB정부 들어서 정부의 미수납액이 전 정부에 비해 작년에는 69%나 급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말로만 재정건전성을 외칠게 아니라 재정의 기본인 세입확보에 철저해야 한다”며 “최초에 왜 이런 세입원이 발생했는지 추적해 철저히 특혜여부를 조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