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 후보는 이같은 난제를 정면 돌파와 정책 제시로 돌파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안 후보는 앞서 다운계약서와 관련해서도 즉각 사과성명을 내며 발빠르게 대처했다.
앞서 7일 한 방송사는 안 후보가 고등학교 3학년 때인 1979년 조부로부터 99㎡의 2층 주택과 224㎡의 토지를 증여받았다고 보도했다. 이는 안 후보가 앞서 쓴 책에서 “조부로부터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큰 도움을 받지 않았다”고 밝힌 것과 상반된 것.
뿐만 아니라 같은 날 새누리당 조원진 전략기획본부장은 “안 후보의 위장전입 건수만 6개, 탈루 및 다운계약서 건이 5~6개 등 부동산 관련 의혹만 20개가 된다”며 국정감사에서 제기할 뜻을 밝혔다.
안 후보 측 유민영 대변인은 8일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후보는 보도를 보고서야 (조부의 부동산 증여) 관련 사실을 알았고, 이미 금융실명제 전 일이라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또 “이미 해당 부동산은 매도가 됐다고 하는데 이로 인해 후보는 경제적 이익을 얻은 게 없으며 조부께서는 돌아가셔서 사실 확인도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정면돌파 기세는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 역시 마찬가지다.
그는 이날 라디오 방송에서 “근거 없는 의혹 제기에 대해선 당당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이번 국감은 국정감사가 아니라 안철수 국감인 것처럼 되어있다”고 꼬집었다.
안 후보는 추석 이후 지지율 하락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유 대변인은 “지지율 조사는 높게 나오는 것도 있고 낮게 나오는 것도 있다”며 “지지율에 연연해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측은 이같은 검증 공세를 정치혁신을 공론화하고 이를 후보간 정책 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애쓰는 모양새다.
안 후보의 ‘정치혁신포럼’ 대표이기도 한 연세대 김호기 교수는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11월 초에 구체적인 공약을 담은 어떤 정책공약집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특별사면이나 청와대 이전 등의 이슈를 국민들과의 생산적인 토론을 통해 해볼 계획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