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혁신을 기치로 영입한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안대희 정치쇄신특위원장이 당무 거부에 들어간 지 닷새 만의 일이다.
박 후보는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국민대통합을 위한 정치쇄신심포지엄’ 인사말에서 “당내 쇄신과 통합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두고 서로 다른 의견이 있는데, 쇄신과 대통합은 상반된 것 같지만 우리 정치와 미래를 위해 똑같이 가야 할 가치”라며 전날 안 위원장의 ‘조건부 사퇴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두 사람은 이날 심포지엄에서 바로 옆자리에 앉았으나 인사만 나눴을 뿐 냉랭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특히 안 위원장은 박 후보의 이같은 메시지를 단상 아래에서 경청하는 모양새가 연출됐다.
박 후보는 논란의 중심에 있는 김·안 위원장과 만나 별도로 설득할 방침이지만, 당내 분란은 당장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다른 의견이 나오고 조정되는 과정이 새누리당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정치쇄신과 국민대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산고”라고도 했다.
안 위원장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민주통합당 한광옥 전 상임고문이 국민대통합위원장에 임명될 경우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영입에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하루 만에 박 후보가 사실상 안 위원장의 제안을 거절함에 따라 안 위원장과 공동 성명까지 발표한 이상돈 정치쇄신위원 등 전(前) 비대위원들의 결정이 주목된다.
박 후보는 이와함께 김무성 전 원내대표에게 선거대책위원회의 중책을 맡겨 사태수습을 시도하고 있다.
그는 심포지엄 뒤 기자들과 만나 “김무성 전 원내대표가 앞으로 선대위에서 중책을 맡게 될 것”이라며 “조만간 당내 갈등이 깨끗하게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 후보는 전날까지 당내 인적쇄신 요구를 “지금 여기서 모든 것을 다 뒤엎어 새로 시작하자는 것은 어떻게 보면 선거를 포기하자는 얘기”라며 ‘권력투쟁’으로 규정하던 강경입장에서 이날 밤 선대위 의장단과의 심야회동을 계기로 한발짝 물러났다.
한편 안 위원장은 이날 입장 변화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입장 변화는 없다”며 물러서지 않을 뜻을 분명히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