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安 단일화, 물 건너가나

아주경제 이정은 기자=야권 단일화 구도가 심상찮다. 내달 후보 등록일에 앞서 10월에는 서서히 단일화 전선이 형성될 것이라는 애초의 예상과 달리 냉기가 흐르고 있는 것. 민주통합당의 연일 압박에도 무소속 안철수 후보측은 단일화의 '단'자도 꺼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대로라면 독자 완주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이에 따라 민주당은 군소후보와의 연대도 고려하고 있다.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17일 국회 브리핑에서 안 후보에게 "(단일화에 대한) 분명하고 열린 태도를 가져달라"고 촉구하며 야권 성향 원로 지식인들로 구성된 '희망 2013 승리 2012 원탁회의'가 야권 후보 단일화 방안을 논의하기로 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에 안 후보 측 김성식 공동선대본부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서 "단일화가 민주당의 자기중심적 생각이다 보니 합치는 효과가 오히려 줄어드는 당리당략적인 발상"이라며 "새 정치를 바라는 국민의 열망을 받들어야 하는 목적에 맞지 않다"고 받아 넘겼다.

앞서 민주당은 정치혁신위원회 공동구성과 경제민주화 2자 회동 등 잇따라 '러브콜'을 보냈지만 안 후보측으로부터 냉담한 반응만 들었다. 단일화에 대해선 "각자가 준비할 때"이며 정치혁신위 공동구성도 "3자가 합의해 국민께 말씀드리는 게 맞다"는 것이 안 후보측의 설명이다.

이처럼 안 후보측의 원론적인 대답만 되풀이되는 상황에서 민주당은 진보정의당 심상정 대선후보 등 군소후보와의 연대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 후보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정책 연대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그는 "중간층을 불러오기만 하는 공학적 연대가 아니라 정치의 폭을 넓혀 좀 더 왼쪽, 아래쪽으로 갈 수 있는 정책연대가 필요하다"며 연대 대상으로는 "어디까지라고 명확히 말하기보다는 민주당부터 안철수 후보, 진보진영까지 진보적 정권교체의 책임 범위안에 있는 모두라고 본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