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신규 난시청 가구에 대해 위성수신기를 무상지원하고 있지만 이를 적극 알리지는 않고 있다.
22일 방통위의 디지털 전환 포스터와 디지털전환 홈페이지인 DTV코리아에는 위성수신기 무상 지원 내용이 빠져 있다.
신규 난시청 가구 중 컨버터와 안테나 무상지원 가구인 저소득층, 노년층, 장애인 가구를 제외한 20~30%의 가구들이 위성수신기 무상 지원을 모른채 혼란을 겪으면서 컨버터 신청 이후 안테나 개·보수 신청을 고민하다 유료방송 설치로 돌아서는 경우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혼란을 겪는 가구는 아날로그 난시청 가구 65만명의 20%~30%인 21만 가구의 일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30만 가구에 대한 디지털전환이 이뤄진 가운데 4000가구만이 위성수신기를 신청해 방통위는 신규 난시청 가구가 최종적으로 6000가구 내외의 소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지원 대상 가구가 제대로 신청했는지 의문이다.
4000가구 외 대상 가구가 빠져 있을 수도 있는 등 신규 난시청이 적을 것이라는 방통위의 판단부터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방통위는 안테나 개·보수 과정에서 기사가 방문해 필요한 경우 수신기 지원을 알리고 있어 지원 대상이면서도 제대로 신청이 이뤄지지 않은 경우는 없을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현재 컨버터 지원 공급은 SK브로드밴드, 위성수신기 설치는 KT 스카이라이프가 맡고 있다.
방통위는 위성수신기 지원 대상이 소수이고 이같은 설명이 오히려 혼란을 유발할 수 있어 사전 단계에서 알리지는 않고 있다고 설명한다.
무분별하게 건당 비용이 20만원이나 투입되는 위성수신기를 지원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송상훈 방통위 디지털방송정책과장은 “안테나 개보수를 신청하고서도 볼 수 있는 직접 수신 채널 수가 줄면 위성수신기를 무상 지원한다”며 “지원 대상인데도 이를 신청하지 않을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같은 이유가 있고 대상이 소수이더라도 신규 난시청 가구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위성 수신기 지원 사실을 사전에 알릴 필요가 있지 않느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