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ㆍ기업가 정신 분야의 석학인 스턴 교수는 22일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공동으로 JW메리어트호텔에서 개최한 ‘2012 산업혁신 서비스산업 선진화 국제포럼’에 참석해 “싸이는 창조성, 예술성 면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리더가 됐다. 한국인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줬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MIT 내의 기업가 정신 육성 관련 센터인 ‘마틴 트러스트센터’에서 비즈니스 플랜 관련 대회 홍보를 위해 동영상을 만들었는데, 센터 원장이 학생들과 싸이의 춤을 췄다는 내용도 소개했다.
스턴 교수는 한국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혁신과 혁신클러스터가 중심이 돼야 하고 혁신 기반의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며 “한국이 이미 잘 하고 있는 제조업 분야를 진화시켜 서비스업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한국이 다음 단계로 성장하기 위해선 기업가 정신 육성으로 정부 주도의 하향식이 아니라 상향식의 더 많은 실험이 허용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에선 기업가가 된다고 하면 많이 축하해주는데 한국에선 서울대 나와서 대기업 직원, 공무원이 되는 게 아니라 창업한다고 하면 좋아하지 않는 것 같다. 스티브 잡스 같은 사람이 나오려면 사회적 시각이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나 정책의 역할은 어떤 산업에 어떤 기업이 참여할지를 정해선 안 되고 기업 간에 경쟁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비용 기준이 아니라 혁신이나 부가가치, 품질 등을 기준으로 특정산업 내 한국기업 간 경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