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관계자는 매입가격과 운영주체, 보조금 상환 등 분명한 잣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24일 밝혔다.
평화박물관은 역사, 문화, 교육적 가치를 반영해 250여억원을 반영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7월 문화재청이 2차례 감정평가를 벌인결과 1차 2억7000만원, 2차 진지동굴 8억6940만원, 수목 5975만원 등 9억2915만원으로 평가됐다.
추가로 감정평가 예정인 소장유물 총 1066건 1800여점(1185점 일제강점기 생활유물) 등이 있기는 하나 무리가 아닌가 싶다.
박물관 측은 매각 후에도 자신들이 위탁관리를 맡는 방안을 제시했다.
도는 매입 후 관리와 운영은 도에서 맡아서 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는 만큼 사후관리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당사자와 정확히 정리해놓고 매입을 추진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와함께 평화박물관이 도로부터 지금까지 20여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는데 매각을 하면 보조금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지난 23일 제주도의회 임시회 문광위 현안보고를 통해 이달중 평화박물관에 대한 문화재 가치 평가후 매입계획을 확정하고 문화재청과 함께 부분 매입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내년 국고보조사업으로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