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이제는 '미래 전망투표'로 나갈 때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0-24 17: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세계 경제 10위권 국가의 최고통수권자를 선출한다는 18대 대선이 5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유권자는 혼란스럽다.

대선이라는 시장에 여야 대선후보들이 내놓은 상품들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경제위기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여야 3명의 후보는 경제민주화와 복지 공약만 남발한 채 한국 경제의 미래를 어떻게 이끌지를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중도층을 겨냥해 비슷한 공약만 남발하다 보니 차별성이 없는 것이다.

차별성 없는 정책의 체질도 허약하다. 복지혜택을 강조하면서 정작 재원 조달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증세가 필연적임에도 국민적 비판을 피하느라 후보들 모두 쉬쉬하는 분위기다. 큰 그림 없이 그때 그때마다 푸는 즉흥적 공약과 '비용개념' 없는 복지 공약만으로는 국정운영 능력 검증 자체가 힘든 게 사실이다.

후보들의 자질과 정책능력 등을 검증할 대선후보 토론회도 12월 4일부터 열려 유권자들이 후보들의 진면목을 따질 시간도 없이 바로 투표장으로 가야 할 판이다.

이같이 부실한 정책과 검증기회 소멸로 후보 간 네거티브와 과거사 공방만 들끓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의혹,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겨냥한 정수장학회 논란 등을 놓고 여야가 매일 진흙탕 싸움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유권자들의 피로를 해결하기 위해 후보들은 이제 과거에서 벗어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1930년대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과 1980년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정책 투표전략'은 후보들에게 좋은 본보기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대공황 이후 재정지출 확대와 금융 억압으로 대표되는 케인즈주의적 방안을 제시해 이 정책에 대한 찬반투표로 대선전을 이끌었다. 레이건 대통령도 작은 정부와 규제완화 등 신자유주의적 처방으로 '복지병'에 멍든 미국 유권자를 깨웠다.

이제 여야 후보들은 과거 문제에 묶인 '회고적 투표'보다 한국의 미래를 열어주는 '전망적 투표'로 유권자를 유도해야 할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