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은 김 단장이 이날 오전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경제를 보는 눈은 경제전문가마다 다를 수 있다”며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은데 대해 분명한 선을 그은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경기부양책과 관련해 최근 김 단장과 혼선이 있었다는 질문에 “혼선이라기 보다 행복추진위에서 공약으로 발표한 사항 이외에 달리 나가는 것은 우리 공약에 포함돼 있지 않은 것”이라며 김 단장의 10조1000억 규모의 경기부양책은 공약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그는 “경기 상황에 대해 대책을 세우려면 그 시점의 경기상황을 확인하고, 그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지 알고 난 다음에 재원을 논의해야 한다”며 “그런 논의도 되지 않은 부문을 공약에 포함시켜 이야기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김 단장의 제안은 지난 7월 현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써야 할 것이냐는 논의 과정에서 만약에 써야 한다면 이런 방안을 쓸 수 있지 않겠느냐는 수준에서 거론된 것”이라며 “이걸(10조1000억 규모의 경기부양책) 공약으로 거론한 적은 한 번도 없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행복추진위에서 공약을 거의 마무리하고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것 이외에, 예를 들어 이날 일부 언론이 보도한 ‘학교 밖 사교육 금지’ 방안 등도 신빙성이 없는 것”이라며 “그런 것 들을 새누리당이 추진하는 공약인 것처럼 판단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