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 환율 추가하락 전망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원ㆍ달러 환율이 앞으로 더 내려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배민근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4일 `달러당 1,100원 선에서도 원화가치 여전히 저평가‘보고서를 통해 원ㆍ달러 환율 추가하락 가능성을 제기했다.

원화 저평가 정도와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을 고려할 경우 원ㆍ달러 환율 추가하락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원ㆍ달러 환율은 지난달 25일 13개월 만에 1100원이 무너졌으며, 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환율은 1090.9원으로 여전히 1100원선 아래에 있다.

그러나 현재의 원화 가치가 과거 경상수지 균형시기와 견줘 약 10% 낮게 평가됐다는 게 배 연구원의 견해다.

배 연구원은 “원화의 실질가치가 지금보다 10%가량 상승해야 경상수지가 균형에 도달한다는 의미”라며 “내년에도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가 이어지며 원화절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국내외 금리차와 국가 신인도 상승으로 외국인 자본 유입이 이어지는 점도 환율을 떨어뜨리는 요인 중 하나. 다만 하락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서됐다.

배 연구원은 “경상흑자 이면에 있는 실물경제의 부진 양상에 유의해야 한다”며 “현재의 경상흑자가 수입보다 수출이 더 줄어들며 나타나는 불황형 흑자”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설비투자 부진으로 중장기 성장에 제약이 따르는 점, 미국의 재정절벽 등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일방적인 자금유입이 어려운 점 등을 들어 환율하락 흐름이 강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배 연구원은 “원화가치는 앞으로 등락을 거듭하며 점진적으로 절상될 것이며, 절상속도를 완화하면서 중장기적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유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제통화기금(IMF)의 권고처럼 원화절상을 용인하면서도 자본 유출입 규제를 탄력적으로 운용해 금융불안 가능성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