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청년실업 해답은 ‘창업’이 아니라 ‘환경’”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형 저 취직했어요.”

이달 초 쯤이었다. 마감에 쫓겨 정신없이 기사를 쓰던 중에 걸려온 대학 후배의 전화였다.

올 초부터 대학동기와 조그마한 벤처 사업을 시작한다는 것이었다. 갈수록 심해지는 취업난 속에서 하루하루 나이만 먹어가는 그 친구의 유일한 돌파구는 바로 창업이었다.

청년실업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자 현 정부는 청년실업 대책의 일환으로 ‘창업’을 강조하고 나섰다. 1인 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창업의 가치를 역설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 가치의 중심이 청년실업 해소라면 방법이 틀렸다. 당장 창업에 성공할 수는 있어도 대기업과 경쟁, 빠르게 변하는 시장환경 등 회사를 지속시켜나가는 일은 어려운 과제다.

또 창업실패에 대한 안전판도 하나 없는 실정이다. 2000년 IT 거품과 함께 등장한 수많은 벤처기업들의 경영자들 대부분은 코스닥이 아닌 감옥으로 향했다.

이런 면에서 창업은 청년실업대책이 되기 어렵다. 당장 한두 해 실업률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지속적인 실업대책은 아니다.

얼마전 인터뷰를 통해 알게 된 미국 실리콘벨리내 창업의 아이콘이라 불리는 마이클 양 비컴닷컴 의장도 “창업환경이 조성되지 않으면 성공하기 힘들다”고 강조했다.

그는 창업에 성공하기 위해선 확실한 사업아이템과 창업자금 및 교육환경 조성 등 정부차원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양 의장 역시 창업당시 확실한 사업아이템을 가졌음에도 어떠한 창업지원을 받지 못해 195번이라는 실패의 좌절을 맛본 바 있다.

이제 막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젊은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는 그 어느때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창업을 통한 젊은이들의 도전은 분명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 전에 우리사회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과 창업환경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정부의 꾸준한 지원이 선행되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