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화 방식을 비롯해 공동 정책 합의, 공동 국정운영 합의 등의 과제를 풀기 위해 양측은 강경파들이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야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이날 "상대가 있는 협상인 만큼 온건성향의 인사보다는 강경성향의 인사로 실무진이 꾸려질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문 후보 측에선 기획·전략을 책임지고 있는 이목희 기획본부장이 유력시되고 있다. 이 본부장은 안 후보 측에 단일화 논의 참여를 그동안 강도 높게 압박해 왔다. 또 안 후보가 세운 안철수재단의 윤정숙 이사 남편이라는 점에서 연도 닿아 있다. 그러나 안 후보 측에서 선대본부장이 협상 실무자로 나서면 '급'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이에 맞서 안 후보 측에선 김성식 선대본부장이 거론되고 있다. 새누리당 출신인 김 본부장은 합리적인 중도세력과 연합할 수 있는 적임자로 꼽힌다. 평소 '독자생존론'을 주장하는 등 안 후보의 본선 경쟁력을 설명하는 데 적임자라는 평이다. 하지만 캠프 합류 기간이 가장 짧아 안 후보의 의중을 제대로 대변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도 있다.
예비엔트리도 있다. 이들의 성향은 온건파들이다.
문 후보 측에서는 이인영·박영선 선대위원장이 거론된다. 이 위원장은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원순 무소속·박영선 민주당 후보 간 단일화 협상을 진두지휘했던 경험이 있다.
박 위원장은 안 후보 캠프의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과 친분이 두텁다. 박 본부장이 사실상 안 후보 캠프 운영을 총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협상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만하다는 평가다.
안 후보 측에서는 박선숙 본부장이 후보다. 민주당 내에서도 신망이 두터웠고 전략통으로서 강점도 있어 협상 책임자로 적격이라는 평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