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는 애플 4세대 아이패드 10대 중 7대에 LG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된다고 밝혔다.
이는 삼성전자와 애플 간 특허 소송으로 기존 삼성 공급량을 줄이면서 4세대 아이패드, 아이패드 미니 등 신제품 패널을 주로 LG로부터 공급받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집계된 애플 전략 태블릿PC ‘4세대 아이패드’와 ‘아이패드2’에 탑재되는 9.7인치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의 전 세계 출하량은 591만6000대다.
이 가운데 LG디스플레이가 424만8000대로 71.8%를 기록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42만8000대로 7.2%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지난 3월에는 삼성이 257만8000대(70%)로 88만6000대(24%)를 기록한 LG를 압도했지만 7개월 만에 상황이 정반대로 뒤집혔다.
특히 애플이 보급형 태블릿PC 시장 공략용으로 내놓은 ‘아이패드 미니’에는 삼성이 제조한 패널이 없다.
‘아이패드 미니’에 쓰이는 7.9인치 LCD 패널 10월 출하량 224만대 중 77.7%인 174만대가 LG 디스플레이 제품이었다.
나머지 50만대(22.3%)는 대만 AU옵트로닉스 제품으로 나타났다.
애플 아이패드 시리즈에만 쓰이는 9.7인치, 7.9인치 LCD 패널 공급량은 LG가 73.4%, 삼성이 5.2%로 집계됐다.
최근 삼성과 애플 간 특허 소송이 심화되면서 애플은 자사 제품에 장착되는 부품의 공급선을 다각화를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패드에 들어가는 LCD 패널처럼 핵심 부품의 경우 애플의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시킬만한 업체가 적어 LG가 상대적으로 수혜를 받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LG는 지난달 글로벌 태블릿PC용 패널 시장 점유율 40.0%를 기록하며 지난 3월 23.0%에 그쳤던 것에 비해 약 2배 증가했다.
이는 애플의 공급량 증가에 힘입은 것으로 풀이 된다.
삼성은 애플 물량이 줄어들면서 같은 기간 점유율이 41.2%에서 21.9%로 급감했다.
최근 삼성과 애플이 각각 제소 대상 품목을 추가 하는 등 특허 소송이 격화되고 있어 애플이 다시 삼성 측 물량을 확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LCD 패널뿐만 아니라 배터리 공급업체에서도 삼성을 제외시켰다.
26일(현지시간) 애플이 삼성SDI를 아이패드와 맥북제품용 배터리 공급업체에서 빼고 중국업체를 새로 선택했다고 차이나 비즈니스 뉴스가 보도했다.
한편 최근 시장조사기관인 NPD디스플레이서치는 4분기 태블릿PC 출하량 2150만대를 기록하고 노트북은 1460만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처럼 태블릿PC 시장은 최급 급성장을 기록하면서 전체 디스플레이 업계 점유율을 좌우할 정도로 주요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노트북 시장을 뛰어넘는 규모를 기록한 태블릿 PC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업체 간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