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기획재정부는 인수위에 3명의 공무원을 파견한다. 은성수 국제금융정책국장은 재정부 내에서 대표적인 ‘국제금융통’으로 손꼽힌다. 행시 27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국제기구과장과 금융협력과장, 국제금융정책관 등을 거쳐 2011년 4월부터 국제금융국을 이끌고 있다.
홍남기 정책조정국장은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과 청와대 정책실 실장 정책보좌관 등을 거친 뒤 주미한국대사관 재경관으로 일했다. 이억원 종합정책과장은 물가정책과장과 인력정책과장 등을 거치는 등 경제정책국에서 오래 근무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정책 브레인'인 신영선 경쟁정책국장과 김성삼 기업집단과장을 파견한다. 신 국장은 행시 31회로 공정위의 대표적인 '정책통'으로 지난해 7월 시장감시국장 재직시절 SK그룹의 SK C&C 등 내부 계열사 부당 지원에 340억여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등 '대기업의 저승사자'로 불릴만큼 기업조사에 철저했다. 김 과장은 행시 35회로 대기업 소유지분, 상호출자 분석을 통해 부당 내부거래 실태를 공개하는 실무를 맡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박근혜 새정부에서 민생 경제의 현안인 대기업들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와 골목상권 보호가 될텐데 이분들은 중소기업과 서민들의 '손톱에 가시' 를 뽑아줄 적임자"라고 말했다.
국세청은 임경구 중부청 조사4국장과 남판우 본청 국제세원관리담당관을 인수위에 파견했다. 임 국장은 행시 36회로 사무관 시절 국세청 법무과, 기획예산담당관실(현 기획재정담당관) 등에서 근무했다. 서기관 승진 이후 영덕세무서장, 경산세무서장, 중부국세청 감사관을 거쳐 이명박 정부 초기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에서 근무했다.
남 과장은 행시 38회로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세제실에서 근무를 시작했으며 워싱턴 주재관으로 3년 동안 미국에서 근무하며 국제적 감각까지 키웠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낙점된 인사들은 각 부처가 1순위로 추천한 인사들이 대부분”이라고 밝혀 인수위에서 정부 부처가 2배수로 올린 명단을 거의 그대로 전문·실무위원 인사에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