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로 인수위 출범이 한주가 지났지만 박 당선인은 첫날 현판식과 임명장 수여식, 둘째날 전체회의 참석을 제외하고 인수위가 위치한 서울 삼청동 금융연수원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다.
5년 전 이명박 당시 당선인이 인수위 간사회의에 참석해 정부 규제가 기업 활동의 장애로 작용하는 사례를 지적하는 이른바 ‘전봇대 발언’을 하는 등 인수위에 자주 나와 업무 진척상황을 챙긴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박 당선인은 정부 업무보고가 다 끝나고 국정기획조정분과에서 종합보고서(이달 말)를 제출하기 전까진 인수위 업무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관례적으로 해왔던 대통령 당선인의 신년회견도 이번엔 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은 당선인 신분으로 각각 2002년 12월 31일과 2008년 1월 14일 신년회견을 열어 국정운영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이는 박 당선인 스스로 여러 차례 강조했듯 인수위를 철저하게 ‘실무형’으로 운영키로 하겠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현 정부 임기가 끝날 때까지 당선인의 신분에 걸맞은 절제된 행보를 유지하는 게 적절하다는 판단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박선규 당선인 대변인은 “당선인은 2월 25일 취임 전까지 본인 신분은 당선인이라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2월 24일까지는 이명박 대통령이 대통령인 만큼 당선인 입장에서는 새 정부의 성공적인 출범을 담보할 수 있는 정책과 과정을 준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 정부가 2월 24일까지 마무리를 잘 할 수 있도록 돕고 배려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박 당선인은 11~17일 한 주간 진행되는 정부 보고에 대해 별도의 보고를 받지 않고, 이달 하순께 국정기획조정분과에서 각 부처 업무보고에 대한 종합보고서가 만들어진 이후에 인수위로부터 첫 보고를 받겠다는 계획이다.
박선규 대변인은 “인수위에 대한 업무보고가 끝나면 전체를 종합해서 당선인에게 보고하는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인수위는 △부처 업무보고 △분과위원회 보고 검토 작업 △분과위별 검토결과 국정기획조정분과위 제출 △국정기획조정분과위 분과위별 제출내용 종합 △당선인 보고 등 5단계 과정을 거치기로 방침을 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