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직원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뤄진 발표라는 점에서 분위기 수습은 좀처럼 되지 않고 있다.
외교부는 지난 14일 인수위 업무보고를 할 때도 전혀 낌새를 채지 못한 셈이다. 심지어 업무보고를 진행한 간부회의에서 "업무 보고가 잘됐다"며 자평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내 일부 직원들은 간부들이 조직 개편 내용을 몰랐을뿐 아니라 개편안 발표 이후에도 외교부 목소리를 내지 않는다면서 "너무 안일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냈다.
또 통상교섭본부의 경우 윗선에서 '함구령'이 내려졌다는 소문까지 나돌고 있다.
인수위가 통상기능 이관 외에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하지 않은 것도 외교부의 혼란을 키우고 있다.
5개 국으로 구성된 통상교섭본부에는 국제경제기구 등을 다루는 파트도 있다. 국제경제국은 외교부가 통상기능을 이관받은 1998년 이전에도 외교부 조직으로 있었다.
한 직원은 "이제 자원, 일자리, 경제외교는 어떻게 하느냐"며 "외교부는 의전과 영사 업무만 하라는 거냐"라고 하소연했다.
외교부는 이날 오전 안호영 1차관 주재로 1급 간부들이 모여 조직정비 방안 등에 대한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논의를 토대로 세부적인 조직개편 진행 과정에서 외교부 입장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대외적으로 발표한 통상 기능 이전이 번복될 가능성은 낮은 만큼 외교부는 통상교섭본부 아래에 있는 일부 국ㆍ과를 외교부에 잔류시키는 방안을 인수위측과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영사ㆍ공공외교ㆍ개발협력 분야에 대한 조직 강화도 주요한 협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