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조는 16일 성명서를 통해 “쌍용차를 정쟁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결단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쌍용차 노조는 “법원으로부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판명된 쌍용자동차 문제를 놓고 이미 청문회, 국정감사도 모자라 정치권이 다시 국정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역설했다.
이와 함께 “쌍용차 문제의 핵심은 최대주주였던 중국 상하이자본인데 과연 국정조사를 통해 원흉인 상하이자본에 대한 조사가 가능한지 되묻고 싶다”며 “상하이자본이 주범인 것은 전 국민이 다 아는 사실이며, 쌍용차가 아닌 주체인 상하이자본을 국회차원에서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정조사로 인한 쌍용차의 피해는 기업 이미지 훼손, 판매 악영향, 노동조건 변경 등을 야기하며 이는 또 다른 고용불안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노조는 지금 쌍용차에 가장 시급한 것은 투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대주주인 마힌드라(M&M)의 이사회 승인에 따라 쌍용차 투자유무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그런데 정치권에서 쌍용자동차를 압박하고, 흔들기에 치중한다면 함께 죽자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강조했다.
쌍용차 노조는 희망퇴직자 및 정리해고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정치적 이해관계로 풀기보다는 차량판매가 늘어날 수 있는 투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는 고용창출로 귀결되는 선순환 구조가 돼야 한다고 거듭 밝혔다.
노조는 “쌍용차 판매가 늘어날 수 있도록 쌍용차 타기 운동, 쌍용차 정부지원 등 국회차원에서 쌍용차 살리기 운동이 조직된다면 희망퇴직자와 정리해고자들의 빠른 복귀가 실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쌍용차 노조는 “쌍용차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의혹은 증폭시키는 반면, 정작 무급휴직자의 실생활에 필요한 임금지원 법안 처리는 뒷전으로 미뤄왔다”며 “지난 1월 무급휴업·휴직자에게 평균임금의 50%를 6개월간 지원하는 고용보험법 개정안이 법재사법위원회에서 안건심의가 통과됐지만 국회의 늦장대응으로 인해 쌍용차 무급휴직자들에게는 실효성이 없는 법안이 됐다”고 꼬집었다.
김규한 쌍용차 노동위원장은 “지난 3년간 숨도 못 쉬며 법정관리 탈퇴, 매각, 정상화를 위해 노력한 쌍용차 전체 노동자들의 헌신적 노력이 정치권의 쟁점으로 떠오르는 것이 유감스럽다”며 “헌정사상 유례가 없는 민간기업에 대해서 국정조사를 한다는 것 자체가 큰 충격과 혼란”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지난 10일 쌍용차 노사는 오는 3월 1일부로 무급 휴직자 전원을 복귀하는 것에 대해 합의한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