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구글’같은 한국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세제 인센티브를 강화해 민간부문의 참여 촉진을 유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2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중소기업금융의 새로운 방향과 중장기 과제’세미나에서 구본성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같이 주장했다.
구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국내 중소기업금융의 방향은 △경쟁력 중심의 금융지원 △금융부문의 리스크 분담 확대 △중소기업별 특성에 맞는 지원체계 △민간자본의 육성 △공공부문의 시장리더십 확보 등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간 중소기업금융이 자본 시장형 조달의 위축과 벤처형 위험투자의 정체 등의 문제를 낳았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구 선임연구위원은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민간부문의 참여를 촉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소액투자자 또는 기업인의 엔젤투자, 사모펀드 등 비제도권 투자자에 대한 세제 인센티브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세제 혜택으로 민간부문 자금을 모집한 뒤 이를 신탁운용해 투자기업을 사후관리하는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여기서 얻어진 자금을 적극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지면 엔젤투자도 활성화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실제 엔젤투자가 활성화된 미국은 벤처기업들이 단기간 내에 급성장할 수 있는 구조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글로벌 IT기업들이 대표적인 수혜기업이다.
다만 구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에 대해 선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원칙적으로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을 선별 지원해야 중소기업금융 시스템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발표한 김종일 동국대학교 교수 역시 선택과 집중을 강조했다.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시장이 교정 노력없이 지원만 해준다면 장기적으로 중소기업 시장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이유에서다.
김 교수는 “새로운 시책이나 지원방안보다는 중소기업정책을 왜 해야 하는지, 궁극적인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체성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조건 중소기업을 지원하면 이른바 ‘좀비기업’이 늘어날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와 맥을 같이 했다. 그는 “정책금융도 구조조정을 통해 집행체제를 개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