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소관 사항은 미래부 장관과 공동으로 법령 재개정권을 갖도록 하는 방안을 심도 있게 검토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코바코를 비롯한 광고판매도 방통위에 귀속시키는 것을 적극 검토하겠다”면서 “나머지 방송 부분을 모두 방통위에 남겨달라는 야당의 주장은 통신과 방송을 분리하려고 하는 것이자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황 대표는 그러면서도 “우리나라는 지난 1998년 김대중 정권 시절 오랜 토론 끝에 방송과 통신 융합의 기틀을 마련했고 참여정부 시절을 거쳐 시장에 정착됐다. 많은 국민들이 거리나 지하철에서 무선 인터넷 방송보고 있는데 통신과 방송정책을 두 부처로 나눠 담당하는 것은 현실에 맞지 않는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그동안 방송통신 융합정책기능은 방통위에서 수행하고 있었다”면서 “방통위는 여야 위원회의 구조 특성상 정치와 무관한 산업 부분도 정치적 이해 대립에 휩싸이고 의사결정의 속도가 매우 느리다. 글로벌 시장에서 속도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방통위에서) 지원하는 것은 부족하다는 것이 국민의 인식”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지난 2007년 ICT 산업이 세계 3위를 했는데 2011년에는 19등으로 추락했다”면서 “방송에서 보도가 주된 부분이 아닌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통신과 함께 미래부로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대표는 “방송에서 대기업의 횡포가 있다면 경제민주화의 또 다른 원리로 박근혜 정부에서는 여당과 함께 강력히 규제할 것”이라며 “당에게 호소한다. 규제와 진흥이 중첩될 때는 대선 공약 지키겠다는 박 대통령을 지지해 달라”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