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용산역세권 정부·서울시 개입 사실상 어려울 듯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3-10 17: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4자 협의체 구성 대해 부정적 입장 보여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단군 이후 최대 개발사업' 용산국제업무지구개발(이하 용산역세권)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민간자본으로 시작한 사업에 국토해양부와 서울시가 개입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정부-지자체-공기업-민간기업'의 4자 협의체 구성이 불발될 가능성이 커져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와 서울시는 모두 4자 협의체 구성에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일대에 복합단지를 짓는 용산역세권은 시장 침체와 대주주인 코레일과 민간 출자사간 갈등 등으로 사업에 난항을 빚어오고 있다. 이달 안에 갚아야 할 이자만 550억원에 달하지만 자금조달이 쉽지 않다.

4자 협의체 구성은 당초 용산구를 지역구로 둔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대통령직 인수위윈회 당시 제안했던 방안이다. 정부와 서울시가 용산역세권에 대한 지원 방안을 살펴보라는 취지다.

또 최근 총사업비 30조원 규모의 용산역세권 정상화를 위해서는 공영개발이 해답이라는 주장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정부가 실질적으로 개입해 공공성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국토부는 용산역세권에 정부가 나서게 되면 공기업에 재정을 투입한다는 오해를 살 수 있어 참여가 어렵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다.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도 최근 청문회 당시 용산역세권의 공공사업 전환에 대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지만 직접 개입해야 하는지는 생각해봐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인 바 있다.

서울시도 용산역세권이 민간주도 사업으로 개입할 뜻이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정부 움직임을 보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편 용산역세권은 정부 지원도 기대하기 힘들어진 가운데 다음 달 말까지 실시계획인가를 신청하지 않으면 도시개발법에 따라 개발구역에서 자동 해제될 위기에 놓였다. 시행사인 드림허브는 기간 내 실시계획인가를 신청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내부 갈등을 해소하고 유동성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점이 과제다.

한편 지난 7일 코레일 정창영 사장과 롯데관광개발 김기병 회장은 처음으로 만나 긴급 자금수혈 방안을 논의했다. 이후 코레일이 64억원의 자금을 지원키로 했지만 삼성물산에 랜드마크빌딩 시공권 포기를 요구해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