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제공=성남아트센터) |
판소리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 ‘만화집’에는 판소리 열 두 바탕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대중의 갈채 속에 온전히 남아 전해오는 이야기는 <춘향가>, <흥부가>, <적벽가>, <심청가>, <수궁가> 다섯 바탕이다.
이번 무대는 그 중에서도 ‘사랑’과 ‘연민’의 교훈을 담고 있는 세 바탕이 무대에 오른다. 각박한 세대에 일침을 할 소리꾼들은 바로, 안숙선·왕기석·남궁정애다.
이 시대를 대표하는 명창 안숙선은 판소리 다섯 바탕에 정통한 몇 안 되는 소리꾼이다. 그의 자그마한 체구에서 뿜어내는 춘향의 설움이나, 심청이의 애환은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슬프다.
반면 수궁가의 별주부는 재치 있고, 흥부가의 놀부는 급살 맞게 얄밉다. 평생을 소릿길에 바쳐온 명창의 삶은 늘 작품으로 설명된다.
안숙선 명창은 오랫동안 국립창극단에서 주역을 맡아오며, 시대를 대변해왔다. 1979년에 국립창극단에 입단해 1997년부터 2001년까지 단장 및 예술감독을 역임했고, 현재까지도 중요한 작품마다 빼놓을 수 없는 도창과 지도를 맡아오고 있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왕기석 명창의 소리는 진중하다. 30년 넘게 국립창극단에서 창극을 해온 그의 소리는 배역의 이면을 이미 꽤 뚫고 있다.
세련된 외모 탓에 늘 흥부 역은 거리가 멀지만, 장쾌한 목청과 타고난 연기력 덕분에 국립창극단의 작품들은 그로 인해 무게감을 갖출 수 있다.
특히 소리꾼에게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연기력이다. 중년의 명창 가운데 남궁정애는 숨어있는 소리꾼이다.
그녀는 2011년까지 국립창극단에서 활동하며, 다채로운 역할을 통해 우리 소리의 깊은 성음과 감초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특히 그가 부르는 춘향가 중 ‘춘향모 어사 상봉 대목’은 인상적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각각의 명창들이 시절과 어울리는 바탕을 각각 선택해 관객 앞에 나선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이번 무대 역시 북과 소리만으로 인간의 감성을 녹여내는 소리꾼의 진정성을 만나볼 수 있는 무대가 될 것이다. 일평생을 소리 속에 살아오던 명창들의 공력을 만나볼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