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페이스북> |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페이스북이 동영상 광고를 도입한다. 새로운 수익 동력으로 동영상 광고시장을 조준한 것이다. 지난해 기업공개(IPO) 후 급락한 주가를 회복시킬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6일(현지시간) 페이스북이 오는 7월부터 뉴스피드에 비디오 광고를 선보일 것이라고 보도했다. 동영상 광고는 뉴스피드에서 동영상이 시작하기 전에 소리 없이 자동으로 재생될 예정이다. 페이스북은 새 비디오 광고 플랫폼에 유니레버·네슬레·포드·아메리칸익스프레스·코카콜라 등이 참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디어 트렌드가 TV에서 인터넷으로 이동하면서 온라인 동영상 광고시장도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페이스북은 이를 새로운 수익원으로 공략하려는 것. 지난해 IPO 이후 반토막 난 주가를 회복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아직 미국의 디지털 동영상 광고시장에서 온라인 시장은 TV 시장과 견줄 만한 수준은 아니다. TV의 동영상 광고시장 규모는 645억 달러에 달한다. 온라인의 동영상 광고시장의 경우 41억 달러에 그치지만 지난해보다 41.4%나 증가했다.
페이스북 관계자는 이번 동영상 광고를 도입하면 조회수 1000건당 20달러의 수익을 거둔다는 계획이다. 각 광고 시간은 최대 15초로 제한하는 대신 강력하게 브랜드를 노출시킨다는 방침이다. 또한 임시적으로 개인 이용자는 하루에 한 기업 광고만을 보도록 제한할 예정이다. 마그나글로벌에 따르면 TV 광고의 경우 1000명당 평균 29달러 이하 수익을 얻는다.
이번 동영상 광고는 하루 150만 달러의 매출을 추가시킬 것으로 FT는 전했다. 올해 1분기 페이스북의 매출은 14억6000만 달러였다. 스콧 데비트 모건스탠리 애널리스트는 "올해 말까지 페이스북의 동영상 광고 수익이 하루 400만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동영상 광고 이용자의 편의에 악영향을 준다는 점을 FT는 우려했다. 만약 광고로 인해 이용자가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데 불편해지면 도리어 접속자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피버틀 리서치의 브라이언 와이저 애널리스트는 "뉴스피드의 비디오 광고가 다른 광고보다 더욱 방해가 될 것"이라며 "게다가 자동 재생은 이용자를 성가시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페이스북이 동영상 광고 접근으로 인해 접속을 중단한 이용자 수에 대한 비용을 계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