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대정부 질문에서 민주당 안민석 의원은 정홍원 총리를 상대로 박근혜 대통령이 1979년 전두환 대통령에게서 받았다는 '6억원' 문제를 제기했다.
이 돈은 당시 전두환 합동수사본부장이 청와대 금고에서 찾아 위로조로 박 대통령에게 전달했다는 돈으로, 대선 당시 이정희 후보가 문제 제기해 박 대통령이 "사회환원하겠다"고 밝힌 돈이다.
안 의원은 "공직자 재산등록상 박 대통령의 전 재산은 26억원이고, 1979년의 6억원은 물가상승률 기준 현재 33억9000만원에 달한다"며 "박 대통령이 갚지도 못할 빚을 갚겠다고 국민에게 약속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정 총리가 "내용을 정확히 알지 못한다"고 답하자, 안 의원이 "불성실하게 답하면 곤란하다"고 대꾸하면서 말싸움이 시작됐다.
정 총리가 "의원님께서 일방적으로 가치 환산을 해서 그렇다고 주장하는데 어떻게 답을 하라는 말이냐"고 답하자 야당 의석에서 야유가 쏟아졌고, 이에 안 의원이 "대통령이 갚지 못할 빚을 국민에게 무책임하게 갚겠다고 약속한 것 아니냐"고 되물은 것이다.
정 총리는 "그렇게 일방적으로 환산해서 정치적인 공세를 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6억원을 그대로 갖고 있으면 지금 6억원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어떻게 지금 30몇억원이 됐다고 말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 의원은 "전두환 재산 추징이 왜 일방적인 공세냐, 제 계산법이 자의적이고 잘못됐다는 거냐"고 따졌고, 정 총리는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개인적인 문제를 얘기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맞섰다.
정 총리는 또 역사왜곡 문제와 관련,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여러 가지 과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과목 선택형 체제를 갖추고 있다"면서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은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뉴라이트 계열의 교학사 역사교과서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집필단계에 있고 (내용이) 밖으로 노출될 단계가 아닌 걸로 알고 있는데 왜 논란이 되는지 저도 의심스럽다"면서 "검정심의위원회가 있기 때문에 충분히 논의한 뒤 결과가 나오면 다시 그에 대해 평가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 총리는 5·18 기념식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관련 논란을 야기했던 박승춘 보훈처장의 해임과 관련, "5·18 공식기념곡 제정을 둘러싸고 일부 논란이 되었던 것은 알고 있다"면서도 "본인의 진의와 다른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 해임을 건의할 정도의 하자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