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07/10/20130710000483_0.jpg)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단은 대기업 1802개사 가운데 584개사를 세부평가 대상으로 선정해 점검한 결과 40개사를 C등급과 D등급으로 분류했다.
C등급은 채권단과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 약정을 맺고 경영 정상화를 추진하게 된다. C등급에 해당하는 회사는 건설 14개사, 조선·해운 2개사, 철강·석유화학 1개사 등 27개사다.
D등급은 채권단의 지원을 받지 못한다. 스스로 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지만, 법정관리(기업회생 절차) 신청 가능성이 높다. D등급에 해당하는 회사는 건설 6개사, 조선·해운 1개사, 철강·석유화학 1개사 등 13개사다.
2009년 이후 취약업종을 중심으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실시했지만,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지난해 36개에서 올해 40개로 늘었다. 건설사는 3개사가 늘었다. 구조조정 대상 40개사에 금융권이 빌려준 돈은 총 4조5000억원이다.
금감원은 이들 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추진으로 금융회사들이 더 쌓아야 할 대손충당금(채권을 회수하지 못할 때에 대비해 쌓는 돈)이 680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충당금 적립으로 은행권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평균 0.04%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저축은행의 비율 하락폭은 0.18%포인트다.
금감원은 C등급 업체의 경우 워크아웃을 통해 조기에 경영 정상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D등급 업체의 경우 채권금융회사의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워크아웃 대상 업체에 대해서는 워크아웃 개시 전에 은행의 채권 회수 등 금융 제한 조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도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BIS 비율을 고려했을 때 금융권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고, 오히려 부실한 기업을 선제적으로 골라내 손실 규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된 건설사 20곳은 모두 시행사이며, 여신 규모가 커서 선제적으로 부실 기업들을 골라 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