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대화록이 국가기록원에 보관돼 있지 않다는 것으로 사실상 밝혀지면서다.
대선 패배론 휩쓸려 5·4 전당대회에서 김한길 대표에게 당권을 넘겨준 지 두달 반 만에 다시 역풍을 맞게 된 것이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명예를 회복하겠다며 적극적인 공세를 편 것이 자충수가 됐다.
새누리당에서는 노무현 정부 당시 폐기 또는 은폐됐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검찰 수사 의뢰까지 추진할 태세여서 노무현 정부 마지막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던 문 의원이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태다.
그동안 ‘NLL 정국’에서 트위터를 통해 여러차례 적극적인 입장을 개진했던 문 의원은 지난 18일 트위터에 “기록을 손에 쥔 측에서 마구 악용해도 속수무책 우리의 기록을 확인조차 못하니, 이게 말이 됩니까?”라는 글을 올린 뒤 침묵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성명서를 내고 “열람 결과, NLL 포기발언이 사실이면 정치를 그만두겠다”고 배수진까지 쳤다.
당 내에서도 공개를 강하게 주장했던 문 의원 등에 대한 책임론과 함께 친노 강성그룹에 끌려다녀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확산 되고 있다.
민주당 비노(비노무현) 측 관계자는 “당 지도부의 ‘선(先) 국정원 국정조사 후(後) 대화록 열람’ 전략이 문 의원 때문에 뒤집어졌다”면서 “당 지도부와 상의도 없이 독닥적인 행동으로 일을 그르쳤다”고 비판했다.
김한길 대표와 신주류 측은 친노 그룹의 ‘돌출 행동’도 불만이다.
‘박씨 집안’(이해찬 상임고문), ‘귀태(鬼胎) 발언’(홍익표 의원) 등 최근 논란이 됐던 구설은 모두 친노 그룹에서 나왔다.
한 당직자는 “요즘에 ‘사고는 다 친노에서 치고 다닌다’는 얘기가 돈다”면서 “당 지도부와 상의 없는 독단적인 행동이 도를 넘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당내 균열이 본격화되면서 주도권 경쟁이 본격 점화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문 의원이 위기 탈출을 위해 꺼내들 카드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현재까지는 문 의원은 물러설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진실규명 요구에 사활을 걸고 새누리당 보다 먼저 검찰수사나 특검을 제시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