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은행의 행장 후보접수를 마감한지 한달이나 됐지만, 선임일정이 다음달로 넘어가는 등 자꾸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정부의 구미에 맞는 사람을 앉히기 위한 의도적인 지연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6월 28일 마감된 광주은행장 후보자 접수에는 12명이 참여했다. 행장추천위원회(이하 행추위)는 서류심사를 통해 후보자를 5명으로 압축한 뒤 면접 및 정부의 검증작업을 거쳐 지난 25일쯤 차기 광주은행장을 선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행추위에서는 면접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아직 청와대로부터 답변을 받지 못했다는 게 우리금융 측의 설명이다. 이어 우리금융 관계자는 “행장 선임 일정을 공식적으로 예고한 적이 없기 때문에 연기됐다고 할 수는 없다”고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행내 분위기도 어수선하다. 당초 6월 말 예정이었던 정기 인사도 기약없이 미뤄졌다. 광주은행 매각을 위한 일정도 올스톱된 상태다. 또 다른 매각대상인 경남은행의 경우, 박영빈 경남은행장이 유임돼 이미 인적분할 절차에 들어갔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매각 공고는 이미 났는데 행장 인선이 늦어져 답답하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부에서는 특정인을 선임하기 위해 늦추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김장학 우리금융 부사장과 조억헌 광주은행 부행장의 2파전으로 보고있다. 김장학 부사장은 정부 및 우리금융과 원만하게 교감할 수 있는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광주은행 노동조합을 비롯해 지역 민심 및 상공인, 지역 정치권 등에서는 광주은행의 원활한 민영화를 위해 내부 승계가 이뤄져야 한다며 조 부행장을 지원하고 있다.
광주은행 노조 관계자는 “현재 지역민의 정서와 배치되는 우리은행 출신 인사가 차기 행장으로 거론된다”며 “만약 지주사나 우리은행 출신 인사가 은행장에 선임된다면 강력한 선임 저지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방은행장 선임에 정부의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만큼, 정부의 의중에 따라 행장 선임의 방향이 달라질 전망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 및 금융당국의 입김 때문에 선임이 늦어진다는 소문이 무성하다”며 “29일부터 4박 5일간 대통령의 휴가가 잡혀있어 다음달 5일 이후에나 광주은행 등 우리금융 계열사 CEO 인선이 결정되지 않겠느냐”고 추측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