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나이스신용평가와 KDB대우증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 나이스신용평가가 무보증 선순위 회사채 기준으로 회사채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기업은 총 17곳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2003년 상반기에 25개사의 등급이 하향 조정된 이후 가장 많은 것이며, 이듬해인 2004년 상반기(17건)와 같은 수준이다.
올 상반기 신용등급이 상향 조정된 기업은 21개사로, 하향 조정된 업체 수보다 많았다.
이는 2011년 상반기(27개사) 이후 2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올 상반기 신용등급이 강등된 업체 수가 많았던 것은 쌍용건설이 워크아웃에 들어가고 STX팬오션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건설·해운 업종 기업들의 자금난이 심화했기 때문이다.
국내 신용평가뿐 아니라 해외 신용평가업체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도 작년 4분기 포스코에 이어 올해 들어 KT·이마트·GS건설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는 등 국내 일반 기업에 대한 신용등급을 계속 하향 조정하고 있다.
강수연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금융위기 이후 국내 경기가 회복되면서 등급 상승 우위가 지속됐으나 최근 경기 침체로 기업실적이 부진해지면서 등급 상승세가 크게 둔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