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의 질을 높이기 위한 복지형일자리 확충 계획도 수립했다.
30일 보건복지부는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사회보장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노인일자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공공과 민간을 통틀어 노인 일자리를 현재 23만개서 2017년 43만개까지 늘리기로 했다.
월 20만원인 참여 보수는 2017년 월 30만~40만원으로 높이고 참여기간도 현행 9개월에서 10~12개월로 확대한다.
주로 노인복지관 등에서 맡고 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을 사회적 기업에도 허용하는 등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도 다양화한다.
현재 낮은 보수와 과중한 업무로 열악한 근로상황에 처해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 전담인력의 월 보수도 단계적으로 인상한다.
이를 통해 퇴직급여 반영, 배치기준 완화 등 처우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노인 일자리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노인인력개발원에 노인일자리 정보창구(포털)를 개설하는 한편 콜센터도 운영한다.
현재 민간기업에 한정된 시니어 인턴십을 공공기관으로 확대하고 전문직 퇴직 노인이 경력 단절 없이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시니어 직능클럽을 설립·운영하도록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