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산업연구원(KIET, 김도훈 원장)이 발표한 ‘국내 방위산업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과제’ 보고서를 보면, 방위산업의 일자리창출 기여도가 최근 4년간 제조업의 6배에 달해 새로운 일자리창출 동력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나라 방위산업의 최근 4년('08~'11년)간 고용 연평균증가율은 6.3%로 동 기간 국내 제조업의 1.1%를 크게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고용증가율의 차이는 같은 기간 국내 제조업과 방위산업의 생산액이 10.0%, 10.7%로 비슷한 증가율을 보이는 것과는 대조적인 현상이다.
이에 산업연구원은 현 정부의 최우선 국정목표가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인 점을 감안할 때 방위산업이 생산과 고용 간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방위산업 전체 인력의 26%는 석·박사 중심의 고급 R&D 인력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력 제조업인 자동차의 11.3%, 기계 7.8%, 철강 3.2%, 조선 3.1%와 비교해도 매우 높은 수준이다.
산업연구원은 방위산업의 R&D 중심의 인력구조로 볼 때 방위산업은 고도의 지식과 기술이 집약된 인력 위주의 전형적인 선진국형 지식기반산업이며 동시에 국내 고학력 인력을 흡수하기에 매우 적합한 산업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절충교역(offset)제도를 부품수출 확대 등 방위산업 일자리 창출방안과 연계한다면 향후 5년간 최대 1만7600여 명의 신규 고용이 가능할 것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우리나라의 무기수입 규모는 차기전투기(F-X) 사업 등 최대 130억달러('13~'17년)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정부 무기사업에 대한 입찰 시, 협력업체에 대한 원자재 구매비중이 높은 업체와 협력업체 수가 많은 기업에게 가산점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대·중소기업 간의 동반성장을 유도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강조했다.
윤자영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방위산업은 최첨단 기술이 결집된 대표적 융·복합 산업으로 다양한 관련 분야에서 신시장과 함께 고급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중소기업 유망 분야”라며 “방산물자 지정제도 등의 개선을 통해 부품 아웃소싱에 대한 체계업체의 자율적 선택권을 보장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역량강화와 함께 신규진입기회를 확대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방위산업의 국내 제조업 대비 비중은 고용 0.77%, 생산 0.62%, 수출 0.14%로 여전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용 창출력이 높은 중소기업의 고용규모는 제조업이 77.4%를 차지하는데 비해 방위산업은 30.7%인 9,731명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고용의 53%를 차지하는 화력·기동 분야의 경우 중소 협력업체 고용 비중은 10.9%로 방위산업 평균 중소기업 비중의 3분의1에 불과했다. 이에 연구원은 현재의 내수 중심구조에서 벗어나 수출을 확대하고, 중소기업 육성을 통해 방위산업의 일자리 창출을 적극 유도할 것을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