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해수부가 침체된 DMB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무리하게 DGPS를 사용화를 추진하면서 그 부담을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제조사들에게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논란의 핵심이다.
DGPS를 일반 국민들이 사용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해수부가 지난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스스로 밝힌 것처럼 단말기에 기존의 GPS칩 대신에 멀티칩을 장착해야하는 것이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도 필요하다. 그러나 해수부가 이를 협의라는 이름으로 제조사에게 떠넘겼다는 것이 볼멘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또한 해수부는 각 제조사들의 차기 생산 단말기 모델에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는데 이를 두고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등 제조사들의 차기모델 사양을 해수부가 멋대로 공개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급변하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기본 성능이라고 할지라도 미출시 제품의 사양을 확정된 것처럼 발표하는 것은 제조사 입장에서는 꺼리는 일”이라며 “해수부가 스마트폰·내비게이션 단말기 제조사와 DGPS 상용화를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힌 부분도 부담으로 다가온다”고 말했다.
문제는 또 있다. 사용자의 급격한 감소로 침체된 DMB를 통한 DGPS 상용화가 성공할 것이냐 하는 문제다.
지상파 DMB는 지금까지 4200만대에 달하는 단말기가 보급됐지만 고화질을 제공하는 각 통신사들의 N스크린 서비스에 밀려 고전하고 있다. 한국DMB, U1미디어 등 지상파DMB 전문사업자들은 연간 매출과 비슷한 200억원 이상의 적자 누적에 시달리고 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자체적인 콘텐츠 개발이나 관련 기술의 개발 없이 손쉽게 콘텐츠를 취하려는 DMB업계는 이미 급격한 하향세에 접어들었다”고 지적했다.
해수부는 이를 의식한 듯 ‘정부 3.0 구현을 위한 지상파 DMB 기반 DGPS 위치정보 방송 업무협약’을 DMB 전문 사업자가 아닌 YTN, MBC와 각각 체결했다.
한편 해수부가 DGPS의 단점을 숨긴채 장점만을 부각해 홍보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 전자지도 전문가는 “지난해 DGPS 상용화를 위해 수 차례 모의 실험을 거쳤지만 음영지역이 많고 도심지에서 불안정한 경우가 많았다”며 “이번 상용화 입장에는 장점만을 부각하겠지만 위성 수신 안되면 DGPS도 무용지물이라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