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6개월' 신제윤 금융위원장, 최대 고비 직면

선박금융공사 설립 무산으로 정부에 대한 부산 시민들의 불만과 실망감이 커져가고 가운데 지난 11일 '부산지역 금융현안 간담회'에 참석한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심각한 표정으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신제윤 금융위원장<사진>이 취임한지 6개월이 되는 시점에서 최대 고비를 맞았다. 지난 3월 22일 취임한 신 위원장은 그동안 금융권의 수장으로서 부드러운 카리스마로 박근혜정부의 정책 기조에 맞춰 금융권 재편을 원활히 추진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금융권 재편작업이 점차 구체화될수록 예상치 못한 걸림돌들이 하나 둘 씩 생겨나고 있다. 일부 지역민들의 마음이 조금씩 정부로부터 돌아서고, 특정 금융기관의 반발과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금융그룹 및 계열사 수장 교체 과정에서 불거졌던 관치금융 논란 역시 수그러들기보단 갈수록 가열되는 분위기다. 신 위원장은 본인 뿐 아니라 정부에 대한 신뢰까지 다시 높여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서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책금융 및 금융감독 체계 개편안을 비롯해 일부 공기업의 기관장 선임 등을 둘러싸고 반발 여론이 확산되자 신 위원장 책임론이 부각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마련된 개편안들을 금융위가 나사서 갑작스럽게 수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결국 신 위원장의 책임은 이번 개편안에 대한 반대 여론을 최대한 잠재우도록 설득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신 위원장도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무엇보다 선박금융공사 설립 무산에 따른 성난 부산지역 민심을 달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 11일 신 위원장은 부산을 찾았다. '부산지역 금융현안 간담회'에 참석해 선박금융공사 설립 무산과 금융중심도시 조성 등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해서다. 그러나 부산 시민들을 설득하려는 신 위원장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헛수고가 될 것이란 반응이 많다.

김정훈 국회 정무위원장을 비롯한 많은 정무위 의원들도 정책금융 개편안에 반대하고 있어, 개편안의 국회 통과 여부도 가늠할 수 없다. 신 위원장이 정무위 의원들까지 설득시키는 것은 벅차 보인다.

정책금융 개편안의 핵심인 통합 산업은행 출범에 대해서도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다. 개편안의 최대 피해자라 할 수 있는 정책금융공사 측의 불만과 우려를 해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어느 때보다 신 위원장에게 소통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금융감독체제 이원화를 골자로 한 금융감독체계 개편안을 둘러싸고도 금융위에 대한 불신 여론이 확산돼 있다. 금융위에 대한 개선방안은 빠졌다는 비판도 쏟아진다. 이 역시 국회 통과가 불분명하다.

금융공기업 한 관계자는 "만약 정책금융 및 금융감독 개편안 등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한다면 신 위원장의 책임론은 더욱 불거지지 않겠냐"며 "국회를 통과한다 해도 반대 여론을 달랠 수 있는 대안과 리더십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박근혜정부 출범 초기부터 제기됐던 관치금융 의혹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도 신 위원장에게 부담이다. 얼마 전 신용보증기금 차기 이사장에 서근우 금융연구원 기획협력실장, 기술보증기금 차기 이사장에는 그동안 신보 이사장으로 물망에 올랐던 홍영만 금융위 상임위원이 내정됐다는 얘기가 나온 바 있다.

만약 내정설의 주인공들이 실제 이사장으로 낙점된다면 정부와 신 위원장에 대한 신뢰가 크게 떨어질 것은 분명하다. 국정감사에서도 이 사안들에 대한 의원들의 추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이 고비를 슬기롭게 넘긴다면 현정부에서 신 위원장의 입지는 더욱 굳어질 수 있다. 현재로선 정책을 어떻게 추진하느냐보다 반대 여론을 얼마나 잘 설득하느냐가 중요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