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만연한 청렴(淸廉)의 꽃을 바라보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0-15 08:3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군포소방서장 박정준

(사진=박정준 군포소방서장)
쌀쌀한 바람이 겉옷을 뚫고 들어오고 나뭇잎들 또한 한잎 두잎 떨어지는 가을이다. 가을은 독서하기 좋은 계절이라고들 흔히들 말하는데, 그러한 연유로는 너무 덥지도, 춥지도 아니한 기후적 여건도 있겠지만, 맑고 청명하면서도 높기 그지없는 하늘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마음의 평안을 찾아서가 아닐까 싶다.

이렇듯 누구에게나 보편적인 감정이라는 것은 존재하며, 그것은 누군가가 강요하거나 억지로 갖겠다고 다짐해서 가져지는 마음은 아님에 틀림없다. 청명하고 맑은 것은 비단 하늘만이 아니라 그 아래 존재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도 존재할 것이다. 저 높은 하늘과 같이 맑고 청명한 인간의 수많은 감정 중에서 ‘백일홍’의 청렴을 생각해 본다. 이 얼마나 아름다우면서도 숭고한 단어인가!

공직자가 자신의 자리에서 오랜 기간 지켜내야 할 자신의 청렴, 이것은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단어는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누구도 가질 수 없는 단어 역시도 아니다. 미국의 철학자이자 시인인 에머슨(1803~1882, Emerson, Ralph Waldo)은 청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우리의 마음속에 있는 청렴보다 더 신성한 것은 없다.”라고. 이 문장을 보면서 필자는 이렇게 생각을 해 본다.

그렇다면 과연 청렴이라는 것이 공직자에게만 중요시되고, 공직자만이 가질 수 있는 단어인가? 이상론적인 이야기지만, 청렴이라는 것은 세상을 둘러싸고 있는 불변의 진리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 불변의 진리는 현재 사랑, 존경, 박애, 도덕 등의 많은 단어로 통용되고 있다고 생각하며, 그 중 하나가 청렴이라고 말하고 싶다. 고로 청렴이라 함은 공직자와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이에게 그 정표가 되는 단어라고 말하고 싶다.

한 나라를 통솔하고 대표하는 대통령부터, 국민에 이르기까지 그 모두가 지켜나가고 가질 수 있는 인간으로써의 권리이자 의무인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국제투명성기구의 청렴도(부패인식지수)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10점 만점 중 5.4점으로 조사대상 178개국 중 39위에 머물렀으며, 국민권익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국민의 약 85%가 공직사회의 알선·청탁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한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질적 가치가 정신적 가치를 억제하고 있는 것과 같은 모양새인 것이다.

배롱나무가 한창 꽃을 피우고 있는 요즈음, 옛 향교나 서원 등을 찾아가보면 많이 심어져 있는 배롱나무는 100일간 꽃이 핀다고 하여 ‘백일홍’이라고도 불린다. 이 나무는 청렴(淸廉)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나무로 알려져 있다. 아마 새하얀 꽃이 마치 순결함과 진실함, 곧 청렴함을 상징하기에 그렇게 되지 않았나 싶다. 어느덧 만연하게 핀 배롱나무 꽃처럼 우리 사회에도 청렴이 만발하기를 기대해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