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0/16/20131016000117_0.jpg)
고양결찰서 정보보안과 정보계 지승희
청소년들의 성관계, 성범죄 관련 최근 인터넷 기사를 보던 중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질병관리본부에서 지난해 실시한 ‘청소년 건강 행태 온라인조사’에 따르면 성관계를 경험한 10대의 비율이 5.3%나 됐고, 처음 성관계를 시작한 나이는 2006년 14.2세, 2007년 14세, 2011년 13.6세로 점차 빨라지고 있다는 내용이였다.
또한 청소년들의 절반이상이 이성교제 경험이 있고 그에 대한 많은 고민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청소년들의 이성교제 및 성에 대한 인식이 사회변화와 함께 서구사회 이상으로 개방돼가고 있지만 부모나 학교, 기성세대들의 인식은 이에 한참 미치지 못하여 청소년들의 성문화가 점점 왜곡화, 음지화 되어가고 그로인해 청소년들간 성폭력 등 성범죄의 비중 또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클릭한번으로 음란 동영상이나 잘못된 성지식을 접할 수 있는 환경으로 인해 이성교제 중 상대방에 대한 강제적 성관계 요구 등 다양한 성범죄에 청소년들이 노출돼 있음에도 아무런 대책이 없어 혼자 고민하고, 자신이 성경험으로 인해 더렵혀졌다는 자괴감과 상실감 등 정신적 충격에 빠져있음에도 주위 어른들을 향해 쉽게 도움의 손길을 뻗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유는 청소년기 이성교제는 잘못된 행동이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교육하는 우리 어른들의 그릇된 인식 때문이다.
‘우리 집 아이들은 절대 그런 일 없을 거야, 도대체 어떤 아이 길래 그런 짓을 했데...’ 다른 사람이야기라 생각하지만, 바로 자신의 아이들이 지금 고민하고 있는 이야기일 수 있다.
가정과 학교에서의 성교육 지침서 작성, 성교육 전문 교육인 양성 같은 원론적인 대책만 논의할 때 우리 청소년들은 점점 정신적, 신체적으로 병들어 가고 있다.
‘무조건 안돼’라는 생각을 버리고, 청소년들의 이성교제에 대하여 따뜻한 조언과 시선을 보내줄 수 있는 부모님, 학생들의 이성문제에 대한 진심어린 상담을 해줄 수 있는 선생님, 그리고 자신의 아이들의 문제일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보살펴 주는 어른들로의 인식변화가 필요할 때라고 생각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