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美 노동시장 '탄력'에도 이달 출구전략은 '글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0-16 14: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미국 노동시장의 회복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이번달에 미국의 출구전략이 시동 걸리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재정정책의 불확실이 커졌기 때문에 경기부양책을 고수할 것이란 분석에서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날 연방준비은행 이코노미스트들은 보고서를 통해 “노동시장 회복이 광범위하게 견고하며 앞으로 이러한 추세가 이어진다면 회복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전했다.

보고서는 노동시장 관련 330개 지표를 분석한 결과 6개가 실업률 하락을 예고했으며 노동시장 회복 속도가 1년 전보다 더욱 가속화됐다고 설명했다. 6개 지표는 실업수당 첫 청구자 숫자·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지수·민간 고용 증가율 등이다. 또한 보고서는 이 같은 노동시장의 개선이 연방준비은행(Fed, 연준) 양적완화 축소 결정에 변수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연준이 이달에 양적완화 축소를 실시하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리처드 피셔 댈러스 연준 총재는 미국의 무모한 재정정책 때문에 연준이 현행 정책을 고수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미국 정치권이 국가 부채 한도 증액안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폭되면서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를 결정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지난 8월에만 해도 피셔 총재는 ”지난 7월 실업률이 7.4%로 떨어졌기 때문에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해야 할 적절한 시점이 근접해졌다"고 말했었다. 그러나 그는 미국 정치권이 단기적인 디폴트를 막는 계획을 동의한다고 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협상이 한시적인 부채 한도 증액안이기 때문에 당장 국가 부도 위협을 없앨 수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얘기다. 그는 개인적으로 현재 미국이 경기부양책을 축소하기엔 여전히 취약한 상태라고 입장을 나타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경제 전문가 46명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양적완화를 축소할 것이란 전망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 한달 전에는 46명 가운데 37명이 12월 또는 내년 1월부터 양적완화를 축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준비은행장은 이날 연준이 인플레보다 고용 쪽에서 목표를 접근하지 못한 점을 지적했다. 그는 "중앙은행이 통상적이지 않은 방법을 포함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하는 것이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서도 재정을 잘못 운용하면 중앙은행의 독립성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번달 FOMC회의는 오는 29~30일에 열린다. 앞서 연준은 매달 850억 달러의 자산매입을 연내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