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병규 기자 =27일 새 검찰총장으로 지명된 김진태(61·사법연수원 14기·경남)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 내 대표적인 '특별수사통'으로 손꼽힌다.
잇단 검사 비리와 초유의 검란 사태로 검찰의 위기가 고조된 지난해 12월 사태 수습을 위한 구원투수로 이미 총장 권한대행을 맡아, 현재 최악의 위기를 맞은 검찰 조직을 다시 추스릴 수 있는 적임자로 낙점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진주고를 중퇴하고 검정고시를 거쳐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김 차장은 한국은행을 다니다 사법시험에 도전해 합격한 이색 경력을 지녔다.
한국은행 근무 경험 덕분에 서울중앙지검 근무 당시 특수부 검사들을 불러놓고 계좌추적 강의를 할 정도로 관련 업무에 탁월하다는 평가를 들었다.
특히 그는 검찰 내 대표적 원칙론자로 통한다.
일선 검사 시절부터 정보수집과 상황판단 능력이 탁월해 검찰 근무 당시 조직 내에서 분야를 가리지않고 후배들의 신망이 두터웠다.
평검사 시절에는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수사팀에 참여해 노 전 대통령을 직접 마주앉아 조사했다. 인천지검 특수부장 때 임창열 전 경기지사 비리 의혹을 수사했고 대검 중수2과장 때는 김대중 전 대통령 차남 홍업씨를 조사하는 등 전직 대통령 사건을 주로 맡았다.
일선 수사 경험이 풍부할 뿐 아니라 기획부서 근무 경력도 골고루 갖췄다.
또 이번에 총장 후보에 오른 4명 중에서도 가장 고령으로, 황교안(연수원 13·56) 법무부 장관 보다도 5세가 많은 것에 대해 '맏형 리더십'을 발휘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불교와 한학에 조예가 깊으며, 풍부한 독서량에 박학다식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장력도 뛰어나 '달을 듣는 강물' 이란 제목의 수필집을 내기도 했다.
부인 송임숙씨와 사이에 1남1녀를 이루고 있다.
△경남 사천(61·사시 24회) △진주고 △서울 법대 △대검 범죄정보 1담당관 △대검 중수2과장 △부산지검 1차장 △대구고검 차장 △청주지검장 △대검 형사부장 △서울북부지검장 △대구지검장 △대전고검장 △서울고검장 △대검찰청 차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