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경기개발연구원, "중국자본유치....한.중 중소기업 매칭으로 풀어야" 제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1-11 10: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중국자본 유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한.중 중소기업 매칭을 통한 유치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수행 연구위원은 '중국자본의 경기도 유입특성 및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서,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등 중국자본 유치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며 자본을 끌어 모았던 중국은 2011년 연간 해외직접투자(ODI) 금액이 746.5억 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9위의 투자국으로 부상했다.

우리나라도 적극적으로 중국자본 유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중국의 한국에 대한 직접투자 규모는 2011년 기준 중국 ODI 총액 대비 0.4%에 불과하며, 대부분 서비스업 위주의 소규모 투자가 주를 이루고 있다.

중국자본 유입이 기대 이하인 배경에는 상하이자동차의 쌍용자동차 인수합병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함께, 한국의 첨단기술 도입 및 일자리창출을 목적으로 한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전략과 중국의 선진기술 도입 위주의 ODI 전략 간의 미스매치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수행 연구위원은 “경기도가 중국자본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기업에 무엇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중국자본을 매개로 우리기업의 중국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방향의 중국자본 유치 전략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도의 중국자본 유치 전략을 3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한ㆍ중간 중소기업 매칭을 통한 중국자본 유치 전략으로, 중국기업은 본사의 고부가가치화를 촉진하고 경기도 기업은 중국의 시장접근 기회 및 자본을 확충하자는 것이다.

둘째  경기북부지역 접경지역에 중국기업의 글로벌화를 추진하는 교두보를 제공해, 한반도 안정을 촉진하는 산업단지형 중국자본 유치를  추진하자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해안 지역에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한ㆍ중간 산업네트워크 구축 및 중국기업의 글로벌화를 촉진하는 호텔 카지노 비즈니스 업무 등이 결합된 서비스산업 집적지구 형태의 중국자본 유치도 방안으로 제시됐다.

이수행 연구위원은 “중국은 이미 G2로 부상했고 머지않아 미국을 추월할 시점에서, 중국자본에 대한 이분법적인 시각보다는 중국자본을 매개로 중국시장에 대한 접근기회를 확충하고, 국내경제 활성화로 연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ㆍ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