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야스니=미래부 공동취재단
국내 첫 적외선 우주관측 위성인 과학기술위성 3호(STSAT-3) 발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발사관리단은 20일 열린 발사준비 최종점검 회의에서 위성과 발사체 및 기상 조건 등을 확인한 결과 예정대로 21일 오후 4시 10분(우리나라 시간) 발사하기로 했다.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는 미래창조과학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등 과학기술위성 3호 개발참여 기관 책임자와 연구진으로 구성된 발사관리단이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발사관리단장인 박경수 미래부 우주기술과장은 "현재까지 발사체와 위성 모두 아무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지 않다"며 예정 시간대로 발사될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지난 8월 이곳 야스니에서 아리랑 5호 위성을 발사한 드네프르 발사체를 이용해 발사한다.
드네프르 발사체는 SS-18이라고 불렸던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개조한 로켓으로 지상 발사패드를 이용하지 않고 사일로라고 불리는 지하 벙커에서 발사해 기상조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발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드네프르에는 과학기술 위성 3호 이외에도 손바닥 크기만 한 규브위성 부터 세탁기 크기의 소형위성 등 총 23개의 위성이 실려 있다.
이중에는 국내 벤처기업 세트렉아이에서 제작 수출한 두바이셋-2도 포함돼 있다.
드네프르는 발사 후 2분 안에 1단과 2단 로켓을 분리하고 약 6분 뒤 상단 페어링을 분리해 위성들을 목표 궤도에 올려놓을 예정이다.
과학기술 위성 3호는 발사 후 16분 뒤 고도 600km 지점에서 상단 발사체와 분리한다.
위성과의 첫 교신은 발사 90분 뒤 북극 스발바드 지상국에서 이뤄져 위성의 위치를 확인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궤도 진입 여부를 파악 할 수 있게 된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발사 후 6시간 뒤 우리나라 상공을 지나면서 대전 인공위성연구센터와 접속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위성 3호 총괄책임자인 이승우 항우연 실장은 “발사체 하단과 상단의 결합이 완료된 이후 지상국과 발사통제 리허설까지 정상적으로 마쳐 모든 준비가 완료된 상태”라며 “날씨가 대체로 맑고 바람이 좀 있으나 발사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예측돼 발사는 예정대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