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금융연구원의 이시연 연구위원은 이날 서울 YWCA에서 열린 '금융지주회사 제도개선 방안 세미나'에서 "금융지주회사 체제는 현재 국내 금융산업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운영체제로 자리잡았으나, 최근 다양한 문제점도 제기된다"며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금융지주회사 제도는 외환위기 이후 원활한 금융산업 구조조정 및 겸업화ㆍ대형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 2000년 도입됐다. 현재까지 우리, 신한, 한투, 하나, KB, SC, 산은, BS, DGB, 메리츠, 농협, JB금융까지 총 13개의 금융지주사가 설립된 상태다.
금융산업의 대형화에는 이바지했으나 은행 등 특정산업에 대한 수익력 쏠림현상이 심하다는 점, 자회사 경영관리업무의 실효성이 낮다는 비판 등 지주사 체제의 문제점에 대한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개별 업권 중심의 국내 감독ㆍ검사 체계 또한 금융지주회사 제도와 부조화되는 측면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연구위원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크게 △지배구조 개선 △부가가치 창출 확대 △통합감독기능의 강화 세 가지 측면에서 대안을 제시했다.
가장 먼저 그는 "금융지주사의 전략기능 강화를 위해 자회사 경영의사결정과 집행에 대해 명시적으로 협의 및 결의하는 경영관리위원회(MEC)와, MEC 의결사항 등 지주회사 차원의 주요 의사결정이 갖는 위험을 명시적으로 검토 및 협의하는 위험관리협의회(REC)를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 협의회를 통해 권한의 위임과 집행,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의 투명성을 높여 지주사의 전략 기능과 통합적 리스크관리 기능을 동시에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MEC와 REC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이 연구위원은 "임원의 성과평가와 보상 또한 양 협의체 의결사항에 근거해 이루어지도록 설계해야 한다"면서 "이사회 내 과반수 이상의 사외이사 선임 요건 면제 등 완전자회사에 대한 지배구조 특례의 실효성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연구위원은 "지주회사 체제 내 임직원 겸직요건 완화 등으로 기능적 조직 활용 여건을 확대하고 해외 자회사 신용공여에 대한 담보 취득의무 면제, 지주회사를 통한 자회사 자금조달에 대한 요건 보완 등 자금운용 효율성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그는 지주사 최고경영자(CEO)의 불합리한 영향력 행사 등을 막기 위해 내부통제장치 운영에 대한 검사 및 감독을 강화하는 체계를 도입할 것을 제시했다. 지주회사에 대한 검사 전담조직 신설 필요성도 강조하는 한편 향후에는 업권별 → 기능별로 감독조직도 분화해야 한다고 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